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되말홉
- 귀농귀촌종합센터
- 들깨
- 농업교육포털
- 소득률
- 도매가격
- 농촌진흥청
- 공익직불제
- 농산물유통정보
- 작물
- 농림축산식품부
- 소매가격
- 농사로
- 스마트팜
- 마이스터대학
- 햇일반계
- 농업기술센터
- 경영비
- 스마트팜코리아
- kamis
- 도량형
- 버섯정보포털
- 농식품부
- agriedu
- 커리큘럼
- 꿀벌
- 특용작물
- 식량작물
- 스마트팜청년창업보육센터
- 약용작물
- Today
- Total
목록도량형 (3)
귀농, 귀촌 준비하는 예비 청년농업인

우리나라 도량형은 조선시대부터 나라가 정한 단위가 있었다.그러나 민간에서는 그에 가늠할만한 기구가 없어 주변의 생활용품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그래서! 같은 곡물, 작물을 1되, 1말로 셀 때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해당 내용을 다룬 정부기관의 사이트를 어쩌다 찾았다.「세종실록(세종28년)」에 양기(量器)의 용적에 관한 내용이 있다.또한 조선후기의『속대전』과『대전회통』에서도 유사한 수치로 되, 말, 홉을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홉(合) - 57.2657 mL되(升) 572.675 mL말(斗) - 5726.75 mL1되의 부피는 570ml 로 보는 게 맞다. 또한 술의 원료가 되는 곡물 11종은 다음과 같다.맵쌀, 찹쌀,누룩(가루), 통밀(가루), 율무, 쌀보리, 메밀, 청차조, 찰수수, ..

되, 말, 홉은 척근법(척관법)에서 부피를 재는 단위 척근법 척(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 근(斤)은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 척근법 = 척간법 = 척관법 척근법은 지역과 시대에 상관없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그 기준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2014냔 경북매일의 기사를 보면 (링크) 1되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참깨 = 1.2㎏ 검정참깨 = 1.0㎏ 들깨 = 0.9㎏ 좁쌀 = 1.6kg 보리쌀과 흰콩.검정콩 = 1.4kg 수수, 율무 = 1.5kg 1말 = 10되 니까 중량은 다음과 같다. 참깨 = 12㎏ 검정참깨 = 10㎏ 들깨 = 9㎏ 좁쌀 = 16kg 보리쌀과 흰콩.검정콩 = 14kg 수수, 율무 = 15kg 1홉 = 10말 이므로 중량은 다음과 같다. 참깨 = 120㎏..

해당 가격정보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되, 말이라는 단위가 곡물마다, 지역마다 다르다는 내용을 확인하고 포기하였습니다. 들깨, 도매가격, 1kg 당 가격만 최하단에 정리하였습니다. 홉, 되, 말의 정의. 개념. 홉 : 넓이 및 부피를 계량하는 단위. 되 : 곡식이나 액체 등을 세는 단위, 또는 그에 맞게 만든 그릇. 말 : 곡식·액체·가루와 같은 물질의 분량을 측정하는 그릇의 일종. 들깨, 쌀, 찹쌀과 같은 곡식의 경우 낱알이 너무 작아서 일일이 세는 게 에너지 낭비였음. 속이 파인 육면체의 그릇으로 퍼서 세었을 것으로 추정. 열 홉은 한 되, 열 되는 한 말! '1말 = 10되 = 100홉' terms.naver.com/entry.nhn?docId=2252819&cid=51293&categoryId=512..